티스토리 뷰

흑백요리사에서 가장 큰 흥미 이끈 요인은 심사위원 가장 높은 지지 셰프 에드워드 리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가 전국 만 20~6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넷플릭스 오리지널 예능 ‘흑백요리사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흑백요리사에서 가장 흥미를 끌었던 요인은 응답자의 36.4%가 ‘심사 위원’이라고 응답했다. 심사위원이었던 백종원, 안성재 셰프의 어록 등 각종 유행어와 패러디가 인기를 증명하고 있다.

 

이어 백수저(스타셰프)와 흑수저(재야의 고수) 요리사의 대결 구도(28.6%)가 두 번째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출연 셰프들이 각 미션을 통해 만든 요리 (20.3%), 100인의 참가 셰프 라인업 (6.3%), 대규모 세트장 스케일 (4.3%), 서바이벌 형식의 미션 진행 방식(4.1%)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응답 데이터를 살펴보면 20, 30대에서 가장 흥미를 끌었던 요인은 ‘심사위원’이었으며, 50, 60대는 ‘대결 구도’를 가장 높게 꼽았다. 흑백요리사의 다양한 미션 중, 어떤 미션이 가장 깊은 인상을 남겼는지 알아보았다.

 

흑수저 1인이 백수저 1인을 상대하여 대결하는 2라운드가 42.3%의 지지를 얻으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미션에서는 심사위원이 눈을 가린 채 셰프들이 만든 미션 음식을 먹어보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깊은 인상을 남긴 미션 2위는 5-2라운드 세미파이널 2차 무한 요리 지옥(15.2%)이었다. 두부를 사용해 30분마다 새로운 요리를 완성해야 하는 미션이었다. 이어 1라운드 흑수저 결정전 미션(11.1%)이 3위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어떤 요리사가 우승하길 바랬을까? 각자 마음속의 원픽 흑백요리사 우승자는 누구인지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에드워드 리 셰프가 23.5%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다음으로는 11.7%의 지지를 받은 흑백요리사의 우승자인 나폴리맛피아 권성준 셰프로 확인되었다. 이어 최현석 셰프가 9.5%의 지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흑백요리사 출연진 중 어느 요리사의 식당을 가장 가보고 싶은지 확인한 결과, 나폴리맛피아 권성준 셰프의 식당이 가장 가보고 싶은 식당 1위(15.3%)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최현석 셰프의 식당(15.1%), 안성재 심사위원의 식당(9.2%), 정지선 셰프의 식당(7.7%), 에드워드 리 셰프의 식당(7.4%), 이모카세 셰프의 식당(6.2%), 철가방 요리사 셰프의 식당(5.6%) 순으로 확인되었다.

 

흑백 요리사 식당을 방문하게 된다면, 최대 얼마까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설문 관련, 10명 중 4명은 5~10만원으로 응답했다. 5만원 이하가 28.6%, 10~20만원은 23.7%, 20~30만원은 6.0%, 그 이상은 1.7%로 집계되었다. 연령별 응답 데이터에서 20대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는 5~10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난 데에 비해, 20대는 10~20만원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실제 흑백요리사의 식당 예약을 시도해 본 적이 있는 응답자 대상, 몇 군데 예약을 시도했는지 확인해 보았다. 2군데 예약을 시도했다가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군데(36.3%), 3군데(19.5%) 순으로 나타났다. 식당 예약 시 어떤 방법으로 시도했는지 알아보았다. 1위는 예약 어플을 활용하여 예약(28.9%)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네이버를 활용하여 예약(27.0%), 전화 예약(20.6%), 지인을 통해 예약(11.4%) 순으로 확인되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예약 선호 방식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 30대의 경우, 예약 어플, 네이버를 활용한 예약 순으로 나타났으며, 40대의 경우, 네이버를 활용한 예약이 예약 어플 활용보다 높게 나타났다. 50, 60대의 경우, 전화 예약이 가장 선호되는 예약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흑백요리사를 통해 얻은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일까? 전체 응답자의 26.5%가 ‘한식에 대한 국제적 관심 증가’라고 답했다. 뒤를 이어 일반인의 요리에 대한 관심 증대(25.5%), 요식업계의 경제적 활성화(20.7%), 요리사 직업에 대한 인식 개선(15.2%), 요리 프로그램의 제작 방식 혁신(10.2%) 순으로 나타났다.

 

흑백요리사의 시즌 2 제작이 확정된 가운데, 다양한 참가자, 공정성, 다양한 요리, 팀전 축소, 심사위원 보충과 같은 요소가 시즌 2 제작 시 반영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헤럴드경제 서병기 선임기자

 

 

흑백요리사 안성재 셰프가 재오픈 지연

흑백요리사 안성재 셰프가 운영하는 레스토랑  재오픈 지연 ‘흑백요리사’ 안성재 “미슐랭 별 떨어질 일만 남았다” 소신발언, 왜?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에 심사위원

martin2602.goldmomo.com

 

'흑백요리사' '지옥' 시즌제 하는 이유

'흑백요리사' '지옥' 시즌제 하는 이유'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과 '지옥'이 시즌제 IP로 자리 잡고 있다. 해당 작품들을 제작한 콘텐츠 제작사 SLL이 시즌제 확장을 어떻게 성공시킬지 관심이

martin2602.goldmomo.com

 

‘흑백요리사’ 속 식재료 팬트리 누가 채웠을까

‘흑백요리사’ 속 식재료 팬트리 누가 채웠을까···“‘이븐한 재료’ 주어져야 공정한 대결 가능하죠” 리프트를 타고 ‘요리 지옥’으로 내려오는 1800모의 두부. 양문형 냉장고에서 튀어

martin2602.goldmomo.com

 

'흑백요리사' 정지선 셰프 김수미 추모

'흑백요리사' 정지선 셰프, 故 김수미 추모 "5일전만해도 통화했는데…"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의 정지선 셰프가 25일 세상을 떠난 故 김수미를 추모했다.그는 이날 개인 계정에 “저에

martin2602.goldmomo.com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